와인 잔의 구조는 와인의 맛을 결정 짓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와인 잔에 와인의 향이 담겨 있느냐에 따라 와인의 맛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가령 잔의 입구가 크면 와인을 마시면서 머리가 숙여짐에 따라 혀에 닿는 와인의 부위가 넓어지며, 반대로 입구가 좁으면 이 때문에 고개가 뒤로 젖혀지면서 혀에 닿는 부위가 좁아져서 같은 와인이라도 맛의 차이가 느껴지게 된다.
또 와인 잔의 입구가 나팔과 같이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는 구조라면 향을 많이 잃어버려서 맛이 덜하게 되며, 반대로 입구가 안쪽으로 둥글게 된 와인 잔은 와인의 향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어서 맛을 더 복합적으로 느낄 수 있다.
와인 잔의 구조
와인 잔의 종류
1. 보르도 레드 와인 잔
보통 레드 와인의 잔은 화이트 와인의 잔보다 더 커서, 와인의 향기를 좀더 풍성하게 느끼도록 해준다. 보르도 레드 와인 잔의 경우 그 형태가 튤립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프랑스 보르도 스타일의 와인과 같이 타닌 성분이 강한 와인을 담기 위해 고안되었다. 또한 이 잔은 타닌성분의 텁텁한 느낌을 줄이고 과일향과 조화가 되도록 잔의 경사각이 완만한 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와인이 혀끝에서 부터 안쪽으로 넓게 퍼지게 하기 위해 입구의 경사각이 작은 반면에 볼은 넓게 되어 있다. 이 밖에 와인이 외부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확보해 줌으로써 다양한 부케와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2. 부르고뉴 레드 와인 잔
보르도 레드 와인 잔보다는 약간 짧고 뚱뚱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특히 보울 부분이 더 볼록한 편이고 잔 입구로 가면서 차츰 좁아진다. 대개 와인 잔의 보울이 넓게 되면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와인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와인의 향을 더 풍부하게 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랑스 부르고뉴 산의 와인이나 이탈리아의 바콜로, 바르바레스코 와 같은 와인을 이 잔에 담게 되면 그 풍미가 최대한 발산될 수 있다. 특히 부르고뉴에서 생산되는 포도 품종인 피노 누아는 카베르네 소비뇽에 비하면 타닌 성분이 적은 편이기는 하지만 신 맛이 특히 강해서 이것으로 만든 와인을 담기 위해서는 와인 잔의 보울이 커야 한다. 또 최대한 오래 와인 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잔의 경사각이 커야 한다. 값 싼 와인은 그 향의 수준도 낮아서 부르고뉴 레드 와인 잔에 따라 마실 경우에는 자칫 그 향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다.
3. 화이트 와인 잔
기본적으로 화이트 와인은 타닌 성분이 없어서 이 와인을 담는 잔의 보울의 크기는 작아도 별 상관이 없다. 일반적으로 화이트 와인 잔은 레드 와인 잔보다는 작고, 또 화이트 와인은 차게 마시는 특성이 있어서 잔도 그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용량을 작게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또 화이트 와인 잔은 레드 와인 잔보다 덜 오목하며, 화이트 와인의 상큼한 맛을 보다 잘 느끼게 하기 위하여 마실때 와인이 혀 앞쪽에 닿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4. 스파클링 와인 잔
길쭉한 튤립 또는 플루트 모양의 잔이다. 이 잔에 담았을 때 와인의 탄산가스가 오래 보존될 수 있고 또 와인에 포함되어 있는 거품이 올라오는 것을 관찰할 수가 있다. 좋은 스파클링 와인일수록 안쪽의 기포들이 길쭉한 와인 잔 속에서 계속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고급 샴페인은 계속해서 발생하는 작은 기포와 병 속에서 발생하는 2차 발효에서 생겨난 독특한 향을 지니고 있는데 이런 기포와 향을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서 샴페인을 담는 글라스는 튤립 모양이나 계란형의 긴 잔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입구는 좁고 잔의 높이는 높아야 샴페인의 고운 기포를 감상하며 즐길 수 있게 된다.
집이나 야외에서는 어떤 잔을 사용해야 하나
흔하게 볼 수 있는 나팔 형태의 작은 잔은 와인을 즐기는 데에는 비교적 적합하지가 않다. 왜냐하면 이 잔에 와인을 따르면 가득 차게 하기 때문에 향은 물론이고 맛도 별로 느낄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르고뉴의 둥근 풍선형의 와인 잔을 조금 길게 늘인 듯한 모양이나, 보르도의 튤립형 와인 잔을 약간 땅딸막하게 만든 모양이 가장 좋다. 또 와인 잔의 스템은 너무 가늘지 않아야 좋다. 이는 잘 부러지지 않아서 실용적이기 때문이다. 와인 잔의 재질은 크리스탈이든 강화유리든 아무거나 상관은 없다. 최근에는 깨질 염려가 전혀 없고 가격도 저렴한 플라스틱 재질도 많이 사용된다.
올바른 사용법
와인 잔을 잡는 것에 대한 정해진 규칙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와인 잔의 볼 부분을 잡게 되면 손의 열기가 와인으로 전해져서 와인의 온도가 올라가서 와인의 풍미가 떨어질수도 있다. 그래서 와인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보통 스템을 잡는다. 와인 잔을 세척할 때에는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세제의 사용은 가급적 피하고 뜨거운 물로 씻는 것이 좋다. 잔에 세제 성분이 남아 있으면 와인 맛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씻은 와인 잔은 깨끗한 리넨으로 닦는 것이 좋다. 이 때 한 손으로는 잔의 보울 부분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잔의 안쪽을 닦은 후에 거꾸로 세워서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상식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품권 판매업체가 돈을 버는 원리 (0) | 2021.11.12 |
---|---|
공인회계사 , 기업회계의 감시자 (0) | 2021.11.11 |
공개공지 - 내 땅을 여러명이 사용하도록 하는 의무 (0) | 2021.11.10 |
마라케시 조약이란 (0) | 2021.10.07 |
'스카치'라는 이름의 유래 (0) | 2021.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