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및 정보

못 종류

by frhp맨 2022. 1. 6.

못은 접합이나 고정에 쓰이는 결합용 요소로서 형태는 중간 부분이 막대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끝부분은 뾰족한 형태로 되어 있고, 위쪽은 망치등의 도구에 의해 쉽게 타격이 가해지도록 평평한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못은 머리, 몸통, 끝 부분의 처리에 따라 구분되며 그 사용법이나 용도가 각기 다르다.

 

 

1. 못의 머리에 따른 분류

 

1. 유두못(round head)

 

유두못은 못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위쪽의 머리 부분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형태에 해당하는 머리부의 크기는 아래 부분의 몸통 직경과 비례해서 정해진다. 또한 이 못은 일반적으로 방식처리가 되어 있어서 외부와 접하는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 출처 : 벽 종류별 못 박는 방법 및 못의 종류 (naver.com) >

 

2. 무두못(casing nail)

 

유두못에 비해 머리크기가 매우 작아서 거의 몸통 두께와 같은 굵기를 갖고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박힌 후에는 머리 부분이 박힌 부분에 파묻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못의 머리 표면은 평평하지 않고 약간 둥근 형태를 띠고 있으며, 망치 등으로 박은 후에는 뾰족한 도구를 사용해서 한 번 더 머리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머리 부분에 작은 홈이 나 있다. 이 못도 방식처리가 되어 있고, 주로 사이딩(건축물 외벽을 보호하는 외장재의 일종)을 고정하거나 또는 실내 계단용으로 주로 쓰인다.

 

< 출처 : 벽 종류별 못 박는 방법 및 못의 종류 (naver.com) >

 

2. 못의 몸통에 따른 분류

 

1. 민자못(smooth shank)

 

몸통의 표면에 별도의 어떤 형태가 없는 것으로 그냥 둥근 막대 형태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박히는 힘이 가장 커서 흔하게 사용되는 형태이다.

 

2. 꽈배기못(screw shank)

 

몸통의 표면에 넓은 나사형태로 가공되어 있는 형태로서 박힌 후에 잘 빠지지 않기 위해 사용된다.

 

3. 링못(ring shank)

 

몸통 주위엔 좁은 나사 형태가 나 있으며 주로 연한 목재에 못을 박을 때 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비교적 수분이 높은 목재에 주로 사용된다.

 

4. 골못(duplex shank)

 

몸통 표면에 2~4개 정도의 세로 모양의 골이 나 있는 못이다. 이 때문에 박히는 재료와의 마찰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비교적 쉽게 박히는 장점이 있어서 주로 단단한 목재나 콘크리트에 사용된다.

 

< 좌측에서 부터 순서대로 민자못, 꽈배기못, 링못, 골못 - 출처 : 벽 종류별 못 박는 방법 및 못의 종류 (naver.com) >

 

3. 못의 끝에 따른 분류

 

1. 다이아몬드 포인트(diamond point)

 

일반적인 용도에 사용되는 것으로 못질이 가장 쉬운 형태이다.

 

2. 블런트 다이아몬드 포인트(blunt diamond point)

 

끝 부분이 면처럼 뭉뚝한 형태이다. 이 때문에 못질을 하게 되면 박히는 부분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하지만 끝 부분이 뭉뚝하기 때문에 뾰족한 형태로 인해 발생되는 나무의 갈라짐 현상을 줄일 수 있다.

 

3. 블런트 치즐 포인트(blunt chisel point)

 

못의 맨처음 박히는 끝 부분이 끌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역시 블런트 다이아몬드 포인트와 마찬가지로 못질시 나무의 갈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주로 못이 삽입될 때 꽈배기 못의 끝부분에 이런 형태가 주로 채택된다.

 

4. 포인트리스 포인트(pointless point)

 

못의 끝 부분이 뚝 잘려있어 못의 원형 몸통과 같은 모양으로 남아있는 못으로서 박을 때 가장 큰 박히는 힘이 필요하다. 단단한 바탕이나 쉽게 들어가지 않는 나무 등에 박는다.

 

< 맨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다이아몬드 포인트, 블런트 다이아몬드 포인트, 블런트 치즐 포인트, 포인트리스 포인트 - 출처 : 벽 종류별 못 박는 방법 및 못의 종류 (naver.com) >

 

4. 못의 표면처리에 따른 분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 못의 경우 별도의 표면처리를 하지 않지만, 녹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처리를 하는 못 들도 있다. 아래는 표면처리에 따른 못의 종류이다.

 

1. 전기 아연도금(electro galvanized) 못

 

표면이 은색으로 되어 있고 광택이 난다. 쉽게 녹이 발생하지 않으나,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이나 염분이 높은 바닷가 인근에서는 녹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는 사용을 억제해야 한다.

 

2. 기계 아연도금(mechanical galvanized) 못

 

전기나 열에 의하지 않고 정크파우더나 유리조각 등을 넣어 회전시켜서 도금한 형태를 말한다. 도금두께는 전기 아연도금에 비해 편차가 적은편이며 내식성도 우수한 편이다.

 

3. 용융 아연도금(hot dip galvanized) 못

 

고온이 아연액에 담가서 도금하는 형태로 도금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서 녹 발생 억제력이 가장 좋은 도금 방식이다. 단점으로는 표면 상태가 거칠어서 외관상으로는 깔끔하지 않다는 것이다.

 

4. 특수 아연도금 피스(dacroment galvanized screw) 못

 

독일에서 개발된 러스퍼트(Ruspert, 금속의 녹방지용 코팅) 공법으로 특수 도금된 못은 염수 테스트에서 1,000시간을 견딜 수 있어 외부에 노출된 데크(deck)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일반 나사못(스크류 못)과는 달리 머리 위에 십자 모양의 홈이 있어 전동스크류 드라이버로 못을 박을 수 있다.

 

5. 열처리(heat treated) 못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열처리를 한 못을 말한다. 주로 목재와 콘크리트를 함께 박을 때 사용되므로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된다. 

'상식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치 - 비싸진 서민 생선  (1) 2022.01.13
실크로드 - 명칭의 의미  (0) 2022.01.11
화학 개요  (0) 2022.01.05
미적분 발견의 역사  (0) 2022.01.04
물 - 물리적 성질 및 화학적 성질  (0) 2022.01.03

댓글